[스크랩] 물소리 바람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물소리 바람소리에 귀기울여보라. 그것은 우주의 맥박이고 세월이 흘러가는 소리이고 우리가 살 만큼 살다가 갈 곳이 어디인가를 소리 없는 소리로 깨우쳐줄 것이다. 이끼 낀 기와지붕 위로 열린 푸른 하늘도 한번쯤 쳐다봐라. 산마루에 걸린 구름, 숲속에 서린 ..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생활수행 이야기 생활수행 이야기 생활수행 이야기 그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원을 세워 일하는 이의 앞길은 환히 열릴수 있습니다 "나" 만 잘되자는 이기적인 마음이 아니라 모두 함께 잘되자는 밝은 이타의 서원이기 때문 입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내 자식 대학 붙게 해주세요 장사 잘되게 해주세요 내 병좀 낫게 해..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가을은 이상한 계절 가을은 이상한 계절 가을은 이상한 계절 가을은 참 이상한 계절이다. 조금 차분해진 마음으로 오던 길을 되돌아볼 때, 푸른 하늘 아래서 시름시름 앓고 있는 나무들을 바라볼 때, 산다는 게 뭘까 하고 문득 혼자서 중얼거릴 때, 나는 새삼스레 착해지려고 한다. 나뭇잎처럼 우리들의 마음도 엷은 우수..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행복은 밖에서 오지 않는다 행복은 밖에서 오지 않는다 행복은 밖에서 오지 않는다 오늘 내가 겪은 불행이나 불운을 누구 때문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남을 원망하는 그 마음 자체가 곧 불행이다. 행복은 누가 만들어서 갖다주는 것이 아니라 내 자신이 만들어간다. 지금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세상은 우리 생각과 행위가 만들어낸..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함께 있고 싶어서 함께 있고 싶어서 함께 있고 싶어서 가을은 떠나는 계절이라고들 한다. 그래서 그런지 사람들은 그 가을에 더욱 만나고 싶어하는 것 같다. 막혔던 사연들을 띄우고 예식마다 만원사례(滿員謝禮)하게 된다. 우리 절 주지 스님도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이 가을에 몇 번인가 주례를 서게 될 것이다. 결혼..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새벽에 내리는 비 새벽에 내리는 비 새벽에 내리는 비 새벽에 비 내리는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깨어났다. 머리맡에 소근소근 다가서는 저 부드러운 발자국 소리, 개울물 소리에 실려 조용히 내리는 빗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으면 살아 있는 우주의 맥박을 느낄 수 있다. 새벽에 내리는 빗소리에서 나는 우주의 호흡이 내 ..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단 한 번 만나는 인연 단 한 번 만나는 인연 단 한 번 만나는 인연 차茶의 세계에 일기일회一期一會란 말이 있다. 일생에 단 한 번 만나는 인연이란 뜻이다. 개인의 생애로 볼 때도 이 사람과 이 한때를 갖는 이것이 생애에서 단 한 번의 기회라고 여긴다면 순간순간을 뜻 깊게 보내지 않을 수 없다. 앞으로 몇 번이고 만날 수..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하늘과 산, 자연 속에는 사람들이 놓치고 사는 것들이 숨어있다. 하늘과 산, 자연 속에는 사람들이 놓치고 사는 것들이 숨어있다. 하늘과 산, 자연 속에는 사람들이 놓치고 사는 것들이 숨어있다. "우리가 이제 세끼 밥먹고 일하고, 여러 가지 일중에 달을 본다든가 별을 본다든가 이것도 살아가는 일가운데 중요한 몫이라니까. 현대인들이 그걸 놓치고 있다니까. 그..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탁상 시계 이야기 탁상 시계 이야기 탁상 시계 이야기 처음 사람과 인사를 나눌 경우, 서투르고 서먹한 분위기와는 달리 속으로 고마움을 느낄 때가 있다. 이 지구상에는 36억인가 하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는데, 지금 그 중의 한 사람을 만난 것이다. 우선 만났다는 그 인연에 감사하지 않을 수 없다. 같은 하늘 밑, 똑같..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
[스크랩] 회심 (回心) 회심 (回心) 회심 (回心) 남을 미워하면 저쪽이 미워지는 게 아니라 내 마음이 미워진다. 부정적인 감정이나 미운 생각을 지니고 살아가면, 그 피해자는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 자신이다. 하루하루를 그렇게 살아가면 내 삶 자체가 얼룩지고 만다. 인간관계를 통해 우리는 삶을 배우고 나 자신을 닦는.. 법정스님 글모음 2010.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