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스크랩] 혜민스님 말씀 모음

병노 2013. 9. 21. 22:02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prsshin2&logNo=130150340592

http://blog.daum.net/ptinker/15272486

http://www.youtube.com/watch?v=ASKnrL8Fp5Q 동영상

혜민스님 어록

분류: 행복한 동행 작성일: 2012/07/05 18:07 Editor: Eco_Hong

헤민스님 페북에서 제 취향에 맞는 어록을 일부 발취하였습니다. 

행복하면 마음이 가벼워요. 아이처럼 발랄하고 자주 웃고 솔직해요. 반대로 불행하다고 느끼면 마음이 무거워요. 마음안에다 자꾸 담아 놓아서 웃지도 못하고 마음에 벽이 느껴져요. 오늘 내 마음의 무게가 얼마나 되나요?

짜증은 지금 바로 일어나는 일에 대해 내 마음이 저항할때 일어납니다. 그 저항이 강하면 강할수록 짜증의 깊이도 커집니다. 잡고 있는 그 저항을 잠시 놓으세요. 짜증이 눈앞에서 차츰 소멸합니다.

마음이 어지럽고 괴롭고 힘들면 그 마음 있는 그대로 인지하고 조용히 받아드려보세요. 저항하지 않고 그대로를 받아 드리면 갑자기 마음이 고요해지면서 진정이 되어 지금부터 어떻게 해야할지가 고요한 가운데 보여요.

을 하다보면 좋은 것이 나쁜 것과 함께 붙어 있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경우 나쁜 것이 싫다고 그 일을 아예 버렸버리면 좋은 것까지 버리는 경우가 됩니다. 지혜로운 이는 자신을 굽히면서 나쁜 것을 최소화하고 좋은 것을 취합니다.

을 공격하면 분명 그도 나를 공격합니다. 그것이 인과예요. 내가 아무리 옳아도, 그 사람 이방에선 본인이 옳다고 생각합니다. 내 입장에서만 생까하는 버릇을 멈추거나, 그것이 성숙입니다.

 잘하는 직장인은 자기 아랫 사람에게하는 말의 양만큼. 자기 윗사람과의 대화를 또 많이 합니다. 윗사람과 자주 이야기를 할 수록 일의 오해가 없어지고 능률이 오르고 내 아래 사람들도 덜 힘들어요.

☞ 실수를 두려워하지 마세요. 실수를 통해 배움이 없는 것을 두려워 하세요. 어느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것은 이런저런 다양한 실수를 통해 내공이 싸인 사람을 칭하는 말입니다.

혜민스님_어록(2)

분류: 행복한 동행 작성일: 2012/09/06 09:52 Editor: Eco_Hong

지금 있는 상황을 받아드리고 감사해야하는 순간 행복감이 몰려와요. 아무리 좋은 환경에 있어도 받아즈리지 못하고 자꾸 다른 것을 더 원하면 절대로 행복하지 않습니다. 즉 뭘해서 행복한 것이 아니고 받아즈려 마음이 고요할 때 행복합니다.

걱정이 많아서 불안할 때 스스로에게 물어보세요. 이렇게 미래에 대한 걱정한다고 바뀌는 것이 있는지.  걱정 때문에 오히려 지금 현재 시간을 놓치는 것이 아닌지.  바뀌는 것이 없다면 마음을 현재에 놓고 이 시간의 소중함을 느껴봐요.

열받는 말을 들었을 때 바로 문자나 이메일 답장을 하지 말아요.  지혜로운 사람은 일단 잠을 자고 그 다음날 아침에 답신을 보내요.  말을 듣자마자 바로 하는 반응은 두고 두고 후회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을 해칠 마음을 갖지 말고 원한을 품지 말고 성내는 마음을 두지말라.  남의 흠을 애써 찾지 말고, 약점이나 단점을 들추지 말고, 항상 자기 자신을 잘 단속하여 정의로써 자신을 살펴 나가라.

살다보면 외롭거나 불안하거나 심리적으로 힘든 순간이 와요.  이때 무조건 벗어나려고만 하면 저항하면서 그 감정이 증폭될 수 있어요.  좀 외로워도 괜찬아요. 불안해도 괜찮아요.  가만히 그 감정과 같이 있어보면 곧 흘러지나가요.

우리는 누군가 내 마음을 알아주길 바란다.  세상에 내 마음을 알아줄 사람이 한 사람이라도 있다는 거, 상황은 바뀌지 않아도 왠지 큰 힘이 된다.

" 자신을 불쌍히 여기는 것은 이제 그만둬.  언제까지 애처럼 굴거니 ?  이제 과거에서 발을 빼고 앞으로 나가자.  넌 힘들었 던 거지 불쌍했던 것이 아니야. "  _ 정신분석 전문의  김혜남

으로 따라 해보세요.  "나는 나를 사랑합니다.  사람들한테 치이고 남들과 비교 당하면서 아팠던 나를 사랑합니다.  남들 보기엔 좀 부족해 보일수 있어도 나는 지금 이대로 그대로의 나를 너무도 사랑합니다."

다른 사람이 나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너무 알려고 하지 마세요.  알려고 하면 할 수록 내 삶의 주도권을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줘 버리는 결과를 가지고 와요.  내가 주인이 되는 자신있는 삶을 사세요.

내가 남에게 하는 조언을 가만히 들어보면 남의 경우를 빌려서 결국 나 스스로에게 하고 있더군요.  아이러니지만 진짜 그래요.

사람들은 머리좋은 것을 가지고 그 사람을 존경까지는 하지 않는다.  존경은 덕이 있거나 대의를 위해 자신의 것을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을 때 비로서 느낀다.  옳은 것만 가지고는 사람의 마음을 살 수 없다.

☞ 혜민스님 twitter / sararut whanset

혜민스님 어록 b o o k m a r k

1. 결혼은 사랑하는 이유말고 다른 이유가 있어서 결혼을 하게되면

그 다른이유때문에 나중에 갈라선다. 장담한다!

2. 논쟁은 무슨일이 있어도 피하세요.

결론이 나오지 않을뿐만 아니라 상처투성이로 끝나게 되요.

또 누구를 설득하려고 하지 마세요.

왜 좋은지 설명은 할수있어도 말안에 강요가 들어가면 설득 당하지 않습니다.

3. 누구를 욕했는데 그사실을 모르는 그 사람이 나에게 따뜻한 말을 전한다.

엄청 미안하다. 복수는 이렇게 하는것이다. 사랑으로.

4. 누가 내욕을 하면 가장 현명한 처리방법은 나를 팍 낮추는 거에요.

내가 30초만 존심버리고 낮추어서 아이고 죄송합니다 하면 그 다음은 없어요.

그런데 왜 그러냐고 따지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싸우면서 마음 고생합니다.

5. 나의 일에 대한 비평을 나에 대한 비판으로 생각하시고 가슴 아퍼하지 마세요.

그사람이 나에 대해 알아봤자 얼마나 알겠습니까?

정말로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나를 몇마디 말로 규정되도록 허락하지마세요.




6. 나를 둘러싼 헛소문을 내가 그안에 들어가서 정리하려고 하지마세요.

헛소문은 2개월만 지나면 진실이 어느정도 밝혀집니다.

내가 정리하려고 하면 오히려 오해를 살수가 있고 굳이 해명하려고 하면 유머를 사용하세요.

7. 내가 싫어하는 타입의 사람이 어떤 큰 모임에 가면 꼭 한두명은 있는것은 당연한 거에요.

사람마다 타고난 카르마(업)가 다른데 어떻게 다 좋을수 있겠어요?

그런가 보다 하고 그냥 넘어가면됩니다.

8. 마음을 다쳤을때 보복심을 일으키면 내 고통만 보입니다.

그 대신 스스로를 진정시키고 내명의 자비빛을 일깨워 상대를 이해해보려고 선택했을때

남에게 고통을 준 상대도 결국 고통을 받고 있는 것이 보이게 됩니다.

9. 나를 향해 이러쿵 저러쿵 하는 말들을 적당것 무시하고 사는 법을 익혀요.

일일이 다 마음쓰면 불행합니디.

행복해지고 싶으면 다른사람이 나에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걱정할 시간에 나 하고 싶은거 하세요.

10. 나에게 솔직해져 보세요.

도대체 무엇이 나를 행복하게 하는지.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정해놓은 성공의 기준말고 내안에서 뭘 원하는지.

그것을 성공의 기준으로 해서 내가 주도하는 삶을 사세요.




11. 사람의 가장 고통스러운 것은 내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외면 당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내가 모르고 소외시킨 사람은 없었는지 둘러보세요.

내가 당신을 이해하고 싶다는 눈빚으로 말을 들어주세요.

12. 덜 생각하고 덜 미워하고 덜 걱정하고 살고 싶으면 간단하다.

마음을 현재에 두면된다. 생각, 미움, 걱정은 모두 과거나 미래의 영역에 속해있다.

명상은 마음을 현재에 가져오는 것이다.

13. 우리는 우리가 독해서 남에게 상처주는 것보다도 몰라서 상처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화를 하세요. 그리고 너의 마음 몰라줘서 미안해라고 꼭 하세요.

14. 용서하려면 가장 중요한 것이 그가 왜 그런행동을 했는지 이해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그사람 입장에서 한번 생각해봐요. 이해가 되면 마음이 누그러워지면서 용서의 가능성이 생깁니다.

15. 남이 행복하게 보이는 이유는 내가 그의 삶에 대해 구체적으로 잘 모를때 그래요.

그에 대해 잘 알게 되면 부러워 보이는 부분 못지않게 내가 상상 못했던 힘듬이 또 있다는 것을 알게 될겁니다.



16. 곧 사십인 나를 위해 해 주고싶은 말:

좀 더 아는것을 행동으로 옮기고 편하게 보장된 미래를 차고 나와서 새로운 나를 개척하라.

항상 나를 낮추고 유머와 운동을 잊지말아라. 또 책과 내 마음을 더 들여다 보라.

17. 10대로 돌아가서 해 주고 싶은 말:

지금 죽을것 같이 중요하고 힘든 일이 나중에 보면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남은 내가 생각하는 것만큼 나를 생각 안한다.

지금 생각하는 길 말고도 삶엔 여러길이 있다. 괜찮아 .. 힘내!

18. 서른살 나에게 돌아가 해주고 싶은 말:

작은 성공이나 편안함에 안주하지 말고 항시 남에게 배우려고 하라.

학벌, 집안 같은 외형을 보지말고 사람들의 실력과 성격을 보라.

어른 말보다 니가 원하는것을 하라.

19. 전화 기다리지만 말고 본인이 직접해라.

사람의 마음은 누가 물으면 하겠는데 본인이 직접하기까지는 좀 아닌 경우가 있다.

전화 않고 기다리느니 나 같으면 전화 하겠다.

20. 첫인상보다 끝인상이 더 오래간다.

정치인들을 보라.





21. 쉰살이 넘는 남자가 갑자기 우는거야.

왜냐면 본인 삶을 돌아보니 평생 자신의 경력과 일만 생각했지

자신의 것을 남에게 주어본 적이 없었다는 거야. 나를 뺀 누구를 위한 삶도 아니였다는거지

22. 스팩을 쌓기 위해 스팩을 쌓는것이 아니고

하나 하나 배우는 과정이 즐거워서 하다 보니까 스팩이 쌓이도록 하세요.

과정이 빠지고 결과만을 얻으려고 하면 고통입니다. 과정을 즐기세요.

23. 아무리 엄청난 갑부나 권력자라고 하더래도 내가 그것을 탐하지 않으면

그 사람을 나에게 별거 아니에요.

그가 가지고 있는 것이 부러울때 그가 대단하거나 무섭거나 아부하거나 하는 거에요.

24. 우리 마음안에는 히틀러와 테레사 수녀님이 있습니다.

내 존재 자체에 대한 공포와 미움이 기반을 이루면 히틀러가 되는 것이고

남을 향한 자비와 이해가 강해지면 테레사 수녀님처럼 될수도 있는거 같아요.

25. 우리는 친구가 내가 겪고 있는 힘든 이야기를 들어 준다고 해서

그친구가 내 고민의 근본적 해결점을 찾아줄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그냥 들어준다는 그 자체가 고맙고 그것이 위로가 되는 것이다.





26.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줄수는 없어요.

누군가 나를 싫어하면 그냥 싫어하든 말든 그냥 내버려 두고 살아요.

싫어하는 것은 엄격히 말하면 그 사람 문제지 내 문제는 아니에요.

27. 부족한 나를 내가 사랑해 주세요.

이세상에 살면서 이렇게 열심히 분투하는 내가 어떤때는 참 가엽지 않아요?

친구는 위로해 주면서 왜 나는 내 스스로를 그렇게 함부로 대하는지 " 사랑한다" 해 주세요.

28. 용서는 나를 위해 하는 것입니다.

나에게 헤꼬지한 사람이 이뻐서 용서를 하는것이 아니고

내몸과 마음이 편하고 자유롭기 위해서 그를 용서하기로 결심하는 것입니다.

용서가 없으면 그를 내안에다 장기투숙 시키게 됩니다.

29. 나늘 낮추는 것이 사람들한테 지는것이 아니냐고 따지는 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내가 조금 져서라도 내가 더 큰것을 성취한다면 그건 이기는 것입니다.

잠시 굽히면 마음의 평화, 가족간의 행복, 다같이 잘 되는 결과를 얻습니다.

30. 개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사견에 너무 신경쓰지 마세요.

그냥 그 사람들은 그러식으로 생각하도록 내버려 두시고 내일 하세요.

그많은 사견을 어떻게 일일이 맞추고 살아요?

시비말고 나의 일만 하세요.




31. 정신적으로 힘이 들때 처방(좋은것 순서로):

1. 마음상태를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수행,

2. 나를 내려놓은 기도,

3. 깊은 잠.

4. 친구들과 대화.

5. 운동

6. 좋은 음악과 영화

32. 행복은 상대적 개념입니다.

내가 불행한 이유는 나보다 잘난 사람과 항상 나를 비교하는 버릇 때문입니다.

33. 내 주변 사람을 내 마음에 맞게 바꾸려고 하지말고,

오히려 바꾸려는 내 욕심을 내려놓는것이 훨씬 더 빠르다.

내마음도 내마음대로 못하면서 무슨 다른 사람을 내식으로 바꾸려고 하는가?

34. 오늘 남이 잘 한 일을 보고 속으로라도 깍아내리지 말고 칭찬하고 같이 기뻐해 줍시다.

칭찬하고 기뻐할때 그사람이 지은 공덕이 바로 내 공덕이 된다고 하셨습니다.

35. 오 사랑! 내가 사라지는 그 위대한 경험이여...

36. 고민있는 사람한테는 아무리 좋은 진리 깨달음 이야기 해봐야 소용없습니다.

그 사람의 고민부터 사랑과 관심의 마음으로 차분히 들어주세요.

출처 : 제3기울성교육동기회
글쓴이 : 허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