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내가 쓴 짧은 시 6

병노 2013. 2. 1. 00:23

 

 

    

 

 

 

 

            쇠냇골 통신 80 - 길   

 

 

             세상에 길이 생기자 길이 사라졌다
             길이 생기기 전에 세상은 온통 다 길이었다

 

             2010. 7

 

 

 

 

 

      

 

 

 

 

                  쇠냇골 통신 83 - 詩    

 

 

 

               하늘은 추상이다

               거미줄은 생활이다 그 포충망에

               걸린 내 文字들  

 

               2010. 7  

 

 

 

 

 

      

 

          

 

 

          쇠냇골 통신 114 - 겨울소식 

 

 

            한 줄 시에 기대어 살면

            올겨울에도

 

            첫눈은 꼭 온다

         

             2010. 10. 25

 

 

 

 

 

    

 

 

 

 

         쇠냇골 통신 86 - 근황, 文字놀이

 

 

           (어떻게 지내십니까?)

           연금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年金이 아니라 軟禁이요.

 

           마음의 공산주의는 아득하고

           새로 생긴 예절이

           나를 조종합니다

 

           2010. 7. 18  

 

 

 

 

 

     

 

 

 

 

           쇠냇골 통신 120 - 겨울나무 

 

 

             저 나무 지난 여름 푸른 工場이었다

 

             광합성 공정에 투입된 勞組員들,

             물관을 오르내리며 지상에서

             지하에서 분주했다

 

             저 공장 밤새 떨다

             지금 문 닫았다

 

             2010. 11. 6 

 

             *

             빈들에서 지난 여름을 묵상하고 있는 저 나무,

             인디언들은 나무를 '서 있는 형제'라고 불렀다 

 

 

 

 

 

      

 

 

 

 

          쇠냇골 통신 132 - 쓸쓸한 일 

 

 

            어제 칫과에 들렀다가 다시 안경점에 들렀다가 

            시간이 남아 헌책방에 갔다

 

            가까운 知人에게 맨처음 증정했을 시인의 

            친필서명이 쓸쓸하다

 

            저 失戀의 증표, 세상에

            믿을 사람 없다  

 

            2010. 12. 5  

 

            *

            웬만 하면 시집을 만들지 말자, 아니면

            시집 한 권에 최소 10만원은 받아야 한다.

            (그런 날이 오기는 올라나?)   

 

 

 

 

 

     

  

 

 

          쇠냇골 통신 143 - 보험천국 

 

 

           이제는 노골적으로 본인이 장례비보험을

           들어 두라고 한다 약간의 어드밴티지도

           준다고 하는데, 어디까지나 인생의 깔금한

           마무리를 위한 것이라고 한다

 

           광고가 나를 세뇌한다,

           보험천국이 왔다 

 

           2010. 12. 20

 

 

 

 

     

  

 

 

            쇠냇골 통신 147 - 동백꽃

 

 

              심지 노란 저 붉은 폭탄,

              언땅에서 동백의 유전자가

              제조했다

 

              붉은 것은 위험하다

              한여름 칸나보다 더 붉다

              자폭의 자세를 갖춘 한겨울의

              抗命,

 

              봄이 오기 전에 自盡한다 

 

              2011. 1. 3

 

              - 송찬호 시인의 동백 시*를 읽다가

 

 

 

 

       

 

 

 

            쇠냇골 통신 168 - 오늘의 뉴스

 

 

              세상이 바뀌었다

              모계중심의 여성상위시대, 신사임당은

              세종대왕의 5배 위력이 있다

              지폐의 서열이 그러하다         

 

              (오늘의 뉴스는, 누가 그 지폐를 

              마늘밭에 모셔놓은 일이었다)  

 

              2011. 4. 14 

 

              *

              한국인이라면 누구라도 그 뉴스를 보았겠지,

              100억이라나 120억이라나, 잘못 심어놓은

              현대인의 <종교>를        

 

 

 

 

     

  

 

 

           쇠냇골 통신 203 - 사는 일

 

 

             왜 사느냐고 물으니 시인은

             그냥 웃기로 하고, 또 어떤 시인은 

             외상값* 때문이라 하고 나는

             험을 위하여, 관계를 위하여

             이 별에 왔다고 한다

 

             2011. 5. 29 

 

 

             *

             어젯 밤 읽은 황인숙 시인의 세 줄 詩 <삶>의

             그 '외상값'이 종일 떠나지 않는다.

             고등학교 시절, 국어교과서에서 읽은 김상용 시인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의 끝 행이 다시 떠오른다.

 

             나는 이발소에서 처음 푸쉬킨을 만났다.

             60년대를 지나올 때, 그 이발소 액자 속에서

             푸쉬킨은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평정심을 

             잃지 말라고 했다.

 

 

 

      

  

 

 

           쇠냇골 통신 213 - 이 한장의 사진

 

 

           이 사진은 거룩하다

           거룩하시다

 

           내가 포유류인 것을

           잊고 살았다

 

           우유를 먹고 자란 신인류는

           분류가 애매하다 

 

           2011. 6. 8       

 

 

 

 

 

     

 

 

 

 

       쇠냇골 통신 216 - 사소한 것에 마음 베인다

 

 

        풍전등화 같은 카다피의 운명이라든가

        이젠 뉴스도 뜸해진 대지진으로

        삶이 무너졌을 이웃이라든가, 최소한

        임기말 우리 대통령의 레임덕을 놔두고

        나는 왜 이틀째 큰애와의 見解差에

        마음 베이고 있는가,

 

        2011. 6. 10

 

 

        *

        카다피의 용병은 일당이 2,000弗이라는데 나는

        이 절대군주가 자결할 것이라는 예감이 들었다.

        그는 혁명을 꿈꾸던 시절보다 오늘 하루가 

        더 길었을 것이다. 뉴스는 일본의 대지진으로

        지구의 자전축이 0. 몇 度 일어섰다고 한다.

        이 나라는 5년을 주기로 벌써 百家爭鳴, 春秋戰國 

        時代진입을 하고... 그러나 나는 큰딸과의 

        의견조율이 더 시급하다

        (아직 大戰으로 번지지는 않았지만)

 

 

 

 

 

    

 

 

 

 

            쇠냇골 통신 232 - 분꽃 

 

 

              아침에 쇠냇골 집 앞을 나서면

              언덕에 '시온城' 표지석이 있고, 그 교회당

              손바닥만한 화단에서 분꽃이 여름내

              나팔을 불었다

 

              여름이 끝나갈 때 붉은 유니폼을 입고

              염소똥만한 사리 한 알 물었다 

 

              2011. 8. 25

 

 

 

 

 

      

 

 

 

 

             냇골 통신 258 - 편견

 

 

              구약이 인류사의 기원으로 알고 있던

              날이 있었다

              지금도 이스라엘의 부족사가

              國史보다 훤하다

 

              이념은 편견을 낳기도 한다

              수정하는데 한 세월이 갔다 

 

              2012. 2. 19

 

 

              *

              사막에서 발원한 두 종교가 오늘도 충돌한다

              그때 홍해에서 나는 이런 생각을 했다

 

              무형세계의 실현을 위해 우리는 지상에 온다 

              악의 꽃은 순교로 미화한 자살특공대를 양산한다

              하느님은 쓸쓸할 것이다

       

 

 

 

        

  

 

 

             쇠냇골 통신 281 - 詩

 

 

               도시에서 사원을 다녀오는 일은 쉽지 않다

               그래서 사람들은 언어의 사원, 詩를

               발명했다

 

               2012. 6. 10 

 

               *

               휴일, 한가로운 마음으로 시를 읽다가

               가슴 두드려대는 시 한 편을 만나는 무량한

               행복... 진부한 해석- 言+寺, '詩'를 다시 풀어본다

 

 

 

 

       

  

 

 

                쇠냇골 통신 298 - 계절풍

 

 

                초등학교 때, 우리는 혁명군도 아니면서

                아침마다 혁명공약을 암송했었다

 

                선거의 계절이 왔다

                그 많던 촛불은 어디로 갔나,

                이 바람이 불면 民草가

 

                잠간 주인이 된다 

 

                2012. 8. 14

 

 

 

 

          

 

 

 

 

              쇠냇골 통신 299 - 비오는 날

 

 

                 호우주의보, 예보처럼

                 비가 온다

                 종일 시를 읽다가

 

                 시를 너무 많이 읽어 오늘은 그냥

                 소리내어 울고 싶은 해거름, 

 

                 2012. 8, 15

 

 

 

 

 

          

 

 

 

 

                쇠냇골 통신 303 - 노년

 

 

                그때 내가 아버지의 세월을 이해했다는

                오해, 그때 내가 그 시인의 詩語를

                이해했다는 오류를 지금 수정하는 중 

 

                2012. 9. 1 

 

 

                *

                <자연과 시의 이웃들> 카페에 올린 이 글을 보시고

                임보 시인님께서 '우리들의 인생도 계속 퇴고 중---'

                이라는 말씀을 주셨다 

 

 

 

 

     

                 

 

                                        2010년 겨울, 圖門에서 

   
                     

 

 

 

 

출처 : 淸韻詩堂, 시인을 찾아서
글쓴이 : 동산 원글보기
메모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행복의 얼굴 / 이해인  (0) 2013.02.04
[스크랩] 참이슬  (0) 2013.02.01
[스크랩] 세사  (0) 2013.02.01
[스크랩] 오, 바람 - 칼릴 지브란 // 디얀의 붓다바  (0) 2013.01.21
[스크랩] 밭  (0) 201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