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생애를 막음하는 죽음은 엄숙하다. 저마다 홀로 맞이하는 죽음이므로 타인의 죽음을 모방하거나 흉내 낼 수 없다. 그만의 죽음이기 때문에 그만큼 엄숙하다. 일찍부터 선가에서는 '마지막 한 마디'(이를 임종게偈 또는 유게遺偈라고 한다)를 남기는 일이 죽음의 무슨 의례처럼 행해지고 있다. 그것은 대개 짧은 글 속에 살아온 햇수와 생사에 거리낌이 없는 심경을 말하고 있다. 바로 죽음에 이르러 가까운 제자들에게 직접 전하는 생애의 마지막 그 한 마디다. 따라서 죽기 전에 시작詩作을 하듯이 미리 써놓은 것은 유서일 수는 있어도 엄밀한 의미에서 임종게는 아니다. 타인의 죽음을 모방할 수 없듯이 마지막 남기는 그 한 마디도 남의 글을 흉내 낼 수 없다. 그의 한 생애가 그를 지켜보고 있기 때문에 가장 그 자신다운 한 마디여야 한다. 13세기 송나라 조원祖元 스님은 이런 임종게를 남겼다. 또 어떤 스님은 제자들이 임종게를 청하자, 임종게가 없으면 죽지 못한단 말이냐고 하면서 "지금까지 내가 해온 말이 곧 내 임종게다"라고 했다. 사리舍利란 범어에서 온 말인데 '불타고 남은 유골'을 뜻한다. 불자들이 화장을 하는 것은 아무것도 남기지 않기 위해서다. 본래 무일물을 그대로 보이는 소식이다. 고려 말 백운 경한 스님은 이렇게 읊었다. "내가 세상을 뜨고 나면 불태워 버리고 사리 같은 걸 골라 거두지 말라. 선사의 제자는 세속인과 다르다. 더구나 이 몸뚱이는 헛것인데 사리가 무슨 소용이냐. 이런 짓은 당치 않다!" |
'아름다운 마무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2)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주고 싶어도 줄 수 없을 때가 오기 전에 (0) | 2010.09.18 |
---|---|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3)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그림자 노동의 은혜 (0) | 2010.09.18 |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5)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하늘과 바람과 달을 (0) | 2010.09.18 |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6)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무엇이 사람을 천하게 만드는가 (0) | 2010.09.18 |
[스크랩] 아름다운 마무리 (58, 끝) 오래된 것은 아름답다 - 책에 읽히지 말라 (0) | 2010.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