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 글모음

[스크랩] 무심(無心)이란 과연 우리에게 무엇인가,,,, 법정스님

병노 2010. 8. 21. 11:15

     무심(無心)이란 마음이 없다는 게 아닙니다.

     마음 속에 아무것도 담아 두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비유하자면 아무것도 없는 텅빈 항아리와 같습니다.

     잘 관찰해 보십시오. 지금 내 마음에 담아 둔 것이 있는가.

     항아리 처럼 비었는가?  아니면 그 무엇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가?

 

     마음속에 있는 욕망 질투 번뇌와 같은 분별 망상 때문에 내 마음이 평화롭지 않습니다.

     그것들을 비울 때 원래의 자기로 돌아갑니다. 본래의 우리 마음이 곧 무심(無心)입니다.

 

     황벽선사는 그것을 '본원청정심(本源淸淨心) 본원청정불(本源淸淨佛)'이라고 부릅니다.

     근원적인, 더 없이 청정한 마음이라는 것입니다. 분별에서 떠난 때묻지 않은 맑고 투명한

     마음입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의 본래 마음입니다. 어디에든 얽매임 없이 텅 비어야 됩니다.

 

      어느 제자가

     "어떻게 해야 도(道)에 들어갈 수 있습니까" 하고 묻자,

 

      달마스님은

     "밖으로는 모든 반연(攀緣)을 쉬고 안으로는 헐떡거리는 생각이 없어서

      마음이 벽(壁)과 같아야 비로소 도(道)에 들어갈 수 있다."고 했습니다.

 

     이 역시 우리들 마음이 모든 분별을 떠나 그대로 무심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따로 도에 들어갈 것 없이 무심한 그 마음이 비로 도입니다.

     그것이 곧 부처의 마음입니다. 본래(本來) 청정(淸淨)한 우리의 마음입니다.

 

     중생의 마음이나 부처의 마음이나 다르지 않습니다. 분별을 두면 중생이 되는 것이고

     분별을 거두고 본래의 고요한 마음으로 돌아가면 그것이 바로 곧 부처의 마음입니다. 

 

 

      < 반연(攀緣) > ; 마음이 눈 앞의 대상(對象)에 의지하여 작용(作用)하는 것.

출처 : 염화실
글쓴이 : 진공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