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불교종파가 40여개가 넘는 이유는 ?
기본 | Mon, 19 Jan 2009 20:48:32 +0900
우리나라에 불교종파가 40여개가 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불교 종파
■대한불교미륵종 [ 大韓佛敎彌勒宗 ]
1942년 전남 광산(光山)에서 조계종 승려 김계주(金桂朱)가 무교(戊敎)를 창시한 불교 종단.
1942년 전남 광산(光山)에서 조계종 승려 김계주(金桂朱)가 무교(戊敎)를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법상종 [ 大韓佛敎法相宗 ]
전북 금산사(金山寺)의 개산자(開山者)인 신라의 고승 진표(眞表)를 종조(宗祖)로 삼은 불교 종단.
전북 금산사(金山寺)의 개산자(開山者)인 신라의 고승 진표(眞表)를 종조(宗祖)로 삼은 불교 종단.
■대한불교법화종 [ 大韓佛敎法華宗 ]
1946년 5월 정각(正覺) 혜일(慧日)이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를 종조(宗祖)로 하여, 법화도량(法華道場)인 무량사(無量寺:서울 성북동 소재)를 짓고 창종(創...
1946년 5월 정각(正覺) 혜일(慧日)이 고려의 대각국사(大覺國師)를 종조(宗祖)로 하여, 법화도량(法華道場)인 무량사(無量寺:서울 성북동 소재)를 짓고 창종(創...
■대한불교보문종 [ 大韓佛敎普門宗 ]
서울 보문동(普門洞) 보문사에서 1972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창종(創宗)한 불교 종단.
서울 보문동(普門洞) 보문사에서 1972년 비구니 이긍탄(李亘坦)이 창종(創宗)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관음종 [ 大韓佛敎觀音宗 ]
1965년 12월 서울 숭인동(崇仁洞)의 묘각사(妙覺寺)에서 법화종(法華宗)의 이홍선(李泓宣)이 분립하여 고려 대각국사(大覺國寺) 의천(義天)을 종조(宗祖)로 창시...
1965년 12월 서울 숭인동(崇仁洞)의 묘각사(妙覺寺)에서 법화종(法華宗)의 이홍선(李泓宣)이 분립하여 고려 대각국사(大覺國寺) 의천(義天)을 종조(宗祖)로 창시...
■대한불교용화종 [ 大韓佛敎龍華宗 ]
1932년 진공(眞空)이 전남 구례에서 구성사(九聖寺)를 창건, 용화신앙의 재가(在家) 수행을 권장한 데서 비롯된 불교 종단.
1932년 진공(眞空)이 전남 구례에서 구성사(九聖寺)를 창건, 용화신앙의 재가(在家) 수행을 권장한 데서 비롯된 불교 종단.
■대한불교원효종 [ 大韓佛敎元曉宗 ]
1963년 7월 경담(慶潭)이 신라의 고도 경주에서 고승 원효(元曉)를 종조(宗祖)로 삼고 창시한 불교 종단.
1963년 7월 경담(慶潭)이 신라의 고도 경주에서 고승 원효(元曉)를 종조(宗祖)로 삼고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일승종 [ 大韓佛敎一乘宗 ]
1968년 2월 법화종(法華宗)에서 최호민(崔浩敏)을 중심으로 한 일단의 승려들이 분립, 새로이 형성된 불교 종단.
1968년 2월 법화종(法華宗)에서 최호민(崔浩敏)을 중심으로 한 일단의 승려들이 분립, 새로이 형성된 불교 종단.
■대한불교정토종 [ 大韓佛敎淨土宗 ]
1965년 2월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에서 신동환(申東煥)이 창시한 불교 종단.
1965년 2월 서울 서대문구 아현동에서 신동환(申東煥)이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조계종 [ 大韓佛敎曹溪宗 ]
한국 근대 불교 유일의 종파로 재발족한 불교 종단.
한국 근대 불교 유일의 종파로 재발족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진각종 [ 大韓佛敎眞覺宗 ]
1947년 6월 손규상(孫珪祥)이 경북 달성군 성서면 농림촌에 참회원(懺悔院)을 설립하고 창종한 불교 종단.
1947년 6월 손규상(孫珪祥)이 경북 달성군 성서면 농림촌에 참회원(懺悔院)을 설립하고 창종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진언종 [ 大韓佛敎眞言宗 ]
8·15광복 후의 사회혼란기이던 1948년 승려 손해봉(孫海棒)이 경상북도 포항에서 신라 때 해동진언종(海東眞言宗:후에 摠持宗)의 시조 혜통(惠通)의 사상과 이...
8·15광복 후의 사회혼란기이던 1948년 승려 손해봉(孫海棒)이 경상북도 포항에서 신라 때 해동진언종(海東眞言宗:후에 摠持宗)의 시조 혜통(惠通)의 사상과 이...
■대한불교천태종 [ 大韓佛敎天台宗 ]
1967년 1월 충북 단양군 영춘면(永春面) 구인사(救仁寺)에서 박상월(朴上月)이 창시한 불교 종단.
1967년 1월 충북 단양군 영춘면(永春面) 구인사(救仁寺)에서 박상월(朴上月)이 창시한 불교 종단.
■대한불교총화종 [ 大韓佛敎總和宗 ]
969년 5월 최득연(崔得淵)이 총화회(總和會)를 창립 ·발전시킨 불교 종단.
969년 5월 최득연(崔得淵)이 총화회(總和會)를 창립 ·발전시킨 불교 종단.
■대한불교화엄종 [ 大韓佛敎華嚴宗 ]
한능해대종(韓凌海大宗:본명 韓永錫)이 창시한 불교 종단.
한능해대종(韓凌海大宗:본명 韓永錫)이 창시한 불교 종단.
■한국불교태고종 [ 韓國佛敎太古宗 ]
석가모니를 종조(宗祖)로 하고 보우(普愚)의 종풍(宗風)을 선양하려는 대처승(帶妻僧)으로 이루어진 불교 종파.
석가모니를 종조(宗祖)로 하고 보우(普愚)의 종풍(宗風)을 선양하려는 대처승(帶妻僧)으로 이루어진 불교 종파.
■대한불교열반종 [ 大韓佛敎涅槃宗 ]
석가세존의 열반적정한 근본교리에 따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석가세존의 열반적정한 근본교리에 따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총지종 [ 大韓佛敎總指宗 ]
비로자나불을 교주로 하고, 관세음보살을 본존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비로자나불을 교주로 하고, 관세음보살을 본존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염불종 [ 大韓佛敎念佛宗 ]
자타일시성불의 정신 실천과 현세 및 내세의 정토화를 이념으로 삼고 염불을 권함을 종지로 삼아 보국불교를 지향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자타일시성불의 정신 실천과 현세 및 내세의 정토화를 이념으로 삼고 염불을 권함을 종지로 삼아 보국불교를 지향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한국불교법륜종 [ 韓國佛敎法輪宗 ]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삼고, 고려 말의 승려 보우를 종조로 삼는 한국의 불교 종단.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삼고, 고려 말의 승려 보우를 종조로 삼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대승종 [ 大韓佛敎大乘宗 ]
석가세존의 근본 교리를 바탕으로 아미타불의 정토사상과 타력 염불신앙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석가세존의 근본 교리를 바탕으로 아미타불의 정토사상과 타력 염불신앙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삼론종 [ 大韓佛敎三論宗 ]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기본 교리를 바탕으로 고구려 승랑대종사의 대승종풍 선양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기본 교리를 바탕으로 고구려 승랑대종사의 대승종풍 선양과 전법도생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대한불교본원종 [ 大韓佛敎本願宗 ]
석가세존의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교리를 받들어 전법도생과 호국안민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석가세존의 자각각타와 각행원만의 교리를 받들어 전법도생과 호국안민을 종지로 하는 한국의 불교 종단
■가지산문 [ 迦智山門 ]
통일신라시대에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迦智寺)를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선종(禪宗) 9산문(山門)의 한 파.
통일신라시대에 전남 장흥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迦智寺)를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선종(禪宗) 9산문(山門)의 한 파.
■교종 [ 敎宗 ]
1424년(세종 6)의 선(禪)·교(敎) 양종을 통합 때 화엄(華嚴)·자은(慈恩)·중신(中神)·시흥(始興)의 4종파를 합한 불교 종파.
1424년(세종 6)의 선(禪)·교(敎) 양종을 통합 때 화엄(華嚴)·자은(慈恩)·중신(中神)·시흥(始興)의 4종파를 합한 불교 종파.
■법상종 [ 法相宗 ]
통일신라 때 성립된 불교 종파.
통일신라 때 성립된 불교 종파.
■오교구산 [ 五敎九山 ]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
■오교양종 [ 五敎兩宗 ]
고려 중기에서부터 조선 초기, 즉 1260년(고려 원종 1)~1418년(조선 태종 18)까지 불교 종파의 총칭.
고려 중기에서부터 조선 초기, 즉 1260년(고려 원종 1)~1418년(조선 태종 18)까지 불교 종파의 총칭.
■신인종 [ 神印宗 ]
신라 문무왕 때의 고승 명랑(明朗)을 종조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신라 문무왕 때의 고승 명랑(明朗)을 종조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출처 : DS1DGL
글쓴이 : 천용 원글보기
메모 :
'종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수의행적 (0) | 2010.06.30 |
---|---|
나의종교관 (0) | 2010.06.24 |
[스크랩] 백고좌 법회 스님법문~~동영상 (0) | 2010.03.28 |
불교의개혁 (0) | 2010.03.27 |
[스크랩] "가장 존경받는 종교인 법정스님" (0) | 201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