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眞伊를 거처간 남정네들
그런데 그 상여가 황진이의 집 앞을 지나가다 땅에 붙어서 움직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황진이가 속저고리를 상여에 덮어주었더니 움직였다고 합니다. 妓生(기생)이 됐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때부터 황진이가 유명해지게 되는데요, 황진이는 송공과 그 전부터 함께 지낸 사이라고 합니다. 그 노래가 아주 출중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황진이는 그 노래에 빠져 들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황진이가 "개성에 이사종이라는 사람이 노래를 잘 부른다는데 그래서 황진이가 찾아가 서로 마음속에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는 이사종을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여 여러 밤을 함께 지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 마음에 들었는지 이사종에게 "내 마땅히 당신과 6년을 살아야 겠소"라고 말하고는 이사종의 집에 3년 동안 먹고 살 돈을 가져가서 살고. 3년 후 이사종을 자신의 집으로 대려와 살았으며 6년이 지난 후에는 깨끗이 헤어졌다고 합니다. 이걸 보면 황진이가 얼마나 자존심이 강했으며 당당한 여자인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황진이와 30일을 지내고 깨끗이 끝내겠다. 라고 큰소리 쳤다고 합니다. 황진이와 30일을 지낸 후 황진이가 송별 소양곡을 불렀는데요, 그걸 듣고 소세양은 나는 사람이 아니다! 라고 말하고 황진이와 함께 며칠을 더 살았다고 합니다.
다섯 번째 남자는 왕족 벽계수입니다. 그때 황진이가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 창해하면 돌아오기 어려워라 라고 읊었다고 합니다. 그 소리를 듣고 벽계수가 뒤 돌아 보다가 그래서 황진이가 명사가 아니라 풍유랑이라 말하고 그래서 이 노래는 벽계수 '낙마곡'으로도 유명합니다. 황진이가 말년에 금강산 유랑을 하고 싶어 하여 갈 때 이생이 먹을 것을 짊어지고 갔는데 여행이 끝나고 미련도 없이 헤어졌다고 합니다. 얼마나 용모가 빼어났던지 면벽수련 30년을 깨고 파계승이 되어 버렸다고 합니다.
바로 서경덕인데요, 황진이는 서경덕의 학문이 높음을 듣고 서경덕에게 가서 유혹하였으나 여러 가지 방법을 써보고 함께 오랜 시절을 지냈으나 서경덕은 의연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황진이가 감탄하여 "지족선사는 30년 면벽수련에도 내 앞에 무릎을 꿇었는데 서경덕은 함께 오랜 시절을 지냈으나 끝까지 나에게 이르지 않았으니 진정 성인이다."라고 말하고 서경덕에게 제자로 받아 줄 것을 부탁했습니다. 그래서 제자가 돼었고 '서경덕, 황진이, 박연폭포' 이 세사람을
송도삼절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섹스는 언제나 본인이 선택하고 선도했으나 헤프지 않았으며 시화에 능하고 풍류를 알아 서양 및 중국의 미녀가 단순히 미모로 권력자에게 몸을 맡기고 이름을 날린 것과는 차원이 다른 女人이었습니다. 그래서 후일의 남자들도 그녀를 그리워하며 "자는가? 누웠는가?"라고 그녀를 흠모하였답니다. 그녀가 남긴 시조가 한국 문학사에 커다란 족적이 될 정도로 뛰어났던, 조선 중종 때의 시인이자 시대를 풍미한 명기(名妓)이며, 화담 서경덕, 박연폭포와 함께 송도 삼절로 불리었다. 송도(개성)의 양반 황진사의 서녀로 태어나 우여곡절 끝에 기생이 되었다. 타고난 절색에 명창이었으며 시재(詩才)에도 능해 당대 최고의 명기로 여러가지 일화를 남겼다. 상여가 집 앞에 멈추어 움직이지 않은일 벽계수를 유혹하여 말에서 떨어지게 한 일. 감복하여 제자가 된 일
그와 교류한 인물로는, 30년 면벽수련으로 유명한 지족선사(萬錫禪師), 대학자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종실(宗室) 벽계수(碧溪水), 판서(判書) 소세양(蘇世讓), 선전관(宣傳官) 이사종(李士宗), 오래 가까이 지냈다고 한다. 7수의 한시와 <동짓달 긴긴밤을 한허리를 베어내어>, 우리 문학사상 가장 빼어난 작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전국 방방곡곡을 만행(萬行)하며 세상을 둘러보았으며, 사랑하지 않았으니... 이 몸을 길가에 묻어 짐승과 벌레가 먹게 하여 타의 경계로 삼도록 하세요" 라는 유언을 남기고 명을 달리했다. (옮겨온 글)
|
'이런 저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통 한식요리 총 모음 (0) | 2014.01.14 |
---|---|
[스크랩] 로이터가 뽑은 2013년 올해의 사진들 (0) | 2014.01.12 |
[스크랩] 女性들 옷차림法律로 제정하라. (0) | 2014.01.01 |
[스크랩] 여생을 후회없이 살다 갑시다 (0) | 2013.10.27 |
[스크랩] 그대여, 살다 보면 이런 날이 있지 않은가 시/ 이체 (0) | 201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