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이란?
깨닫는다는 것은
깨달음이 뭐냐고 묻는 그 놈을 깨닫는 것입니다.
이 말을 바로 알아채는 그 주인공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지금 이 글씨를 보는 그 놈을 역으로 반조해서 보는 것입니다.
말하자면 눈 뒤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눈뒤는 무형상이라서 컴퓨터 모니터보듯 볼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생각이 떨어져 나가면 그것을 확인할수는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이 떨어져 나가 마음이 고요하고 비여있지만
한 생각이 뽀록하고 올라오면
그 생각이 일어 났다는 것을 그 놈이 바로 알아채요.
그럼 조금전까지만 해도 텅텅비어 아무것도 없었는데
무엇이 생각이 일어났다는 것을 알까요?
텅텅비어 고요했는데 그 텅텅비어 고요한 것이
죽은 것이 아니고 살아있다는거
그리고 지성知性이 있어서 빛보다 빠르게 안다는 거
텅텅비어 아주 고요한 상태로 살아있는 그것이 내 본성입니다.
그것이 알아챔, 앎 자체입니다.
내면의 빛을 본다던가
천상의 소리를 듣는다던가
천상에 있는 듯한 말할수 없는 지복감이나
부처님, 예수님을 명상이나 기도중에 만난다던가
화두가 깨지고 밑둥이 확 빠진듯한 느낌이나
내 몸이 온 세상을 비추는 거울처럼 투명하게 변한 상태
내 몸이 완전히 사라지는 듯한 경험이 아니고
오직
오직
오직 앎만이 해탈을 시켜 줍니다.
그것은 원래부터 해탈할것이 없었다는 것을 아는 앏입니다.
그런데 이 앎은 앎 스스로를 확인할때 그렇다는 것을 앎니다.
즉 이 앎은 희한하게도 앎 스스로를 확인 할수가 있습니다.
그러면 앎 스스로가 스스로를 확인하면 어떻게 되느냐?
그럼
아는 그놈,
즉 앎자체가 스스로를 깨닫는 순간 온세상에 앎만 홀로있다는 것을 압니다.
태초부터 그 앎이 혼자라는 깨달음입니다.
그것을 아는 것입니다.
그 하나의 앎이 묘妙를 부려서
둘로 셋으로 나온후 원래 하나라는 것을 잊어 버린것입니다.
왜냐면 생각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 앎은
개념적 앎이 아닙니다.
생각으로 아는 앎이 아닙니다.
생각이 완전히 끊어져 나간후에
그 마음 바탕을 확인한 앎입니다.
즉 텅텅 빈 본성이 듣고 말하고 쓰고 다 한다는 것을 아는 것입니다.
그러나 텅텅 빈채로 있는 그 본성은 듣고 말하고 쓰는 것에
한번도 물든 적이 없습니다.
즉 아주 고요히 텅빈채로 있는 그것이 즉 앎입니다.
다시 말하면 빈 (마음의식) 공간=앎 자체입니다
그런데 그 앎을 통해서
눈을 떠 보이는 세상의 모든 것은
그 앎에서 공간적으로 펼쳐진 세상입니다.
즉 앎 자체가 공간화 되어 3차원 영상으로 만들어진 세상입니다.
그러나 그 앎과 공간안의 대상들이 둘이 아닙니다.
이래서 일체유심一切唯心 마음뿐 입니다.
하나다라는 것을 스스로 확인한 앎자체가
눈을 떠 세상을 보면
비여있다는 앎이 물질에 스며들어 보입니다.
즉 물질, 사람, 소리 모든 것이 있으면서도 비여있는 것이 보입니다.
앎이 물체를 투과하면서 자성自性 없이 비여서 있음을 스스로 앎니다.
그 앎안에는 생각이 없기 때문에
시간이 없고 영원한 현재입니다.
공간도 없고 앎 자체입니다.
앎에서 펼쳐 놓으면 시간과 공간이 있는 것처럼 보일뿐입니다.
이 앎은 태어난 적도 죽은 적도 없습니다.
텅텅빈채로 아주 아주 고요한 그 놈이 알고 보고 말하고 다 합니다.
또 스스로를 확인하여 알수 있습니다.
천상천하에 유아독존이라는 사실을
하나(뿐인) 님이 바로 그것이라는 사실을
보는 觀 놈 스스로가 自 있는 그 자리 在, 관자재 보살이 이것이라는 것을
둘이 아닌 불이문 不二門에 들어간다는 것이 바로 그 앎이라는 사실을
비어서 고요한데 영묘하게 아는 공적영지 空寂靈知가 바로 이거라는 사실을
눈앞에 홀로 밝은 이놈!
이 앎만 또렸합니다!
이 앎은 도착하려는 피안에서
한발자국도 떠난적이 없었음을
아는 부처의 앎입니다!
그런데 그 앎안에는 부처도 사실 없습니다.
오직 앎만 있습니다!
그래서 부처도 알수 없습니다.
(혜민스님)
'성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내가 `나가 놀아라`고 한다. (0) | 2012.07.27 |
---|---|
[스크랩] 세상이란 틀에 대하여... (0) | 2012.07.12 |
[스크랩] 어머니가 주신 지혜의 주머니 (0) | 2012.07.02 |
[스크랩] 그 사람을 가졌는가 / 함석헌 (0) | 2012.06.30 |
나와 남의 차이 (0) | 2012.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