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

[스크랩] **강화/석모도.해명산 풍경..

병노 2008. 3. 5. 22:03
**강화/석모도.해명산 풍경..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강화/석모도.해명산

날짜: 2008.2.16(맑음)
강화도 외포리 선착장- 진드기고개- 해명산- 낙가산- 눈썹바위-  보문사 
생각보다 차운 공기가 감돌아 따사로운 양지를 그립게 하는 외포리 석착장이다.
푸른집이라는 울타리가 얼마나 든든하고 정겨운지 만남의 장은 언제나 행복하기만 하다.
배가 떠나면서 어디서 오는지 수백 마리 갈매기 떼가 반갑다며 날아 들어, 환영의 날갯짓 하면서
비상을 꿈꾸듯 하늘로 솟구치며 순간에 소리를 지르기도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새우깡을 던져주니 경쟁하듯 채간다. 
공중을 나는 갈매기를 가까운 거리에서 찍을 수 있는 기회인데, 좀처럼 잡히지가 않아 이것 또한 쉬운 일이 아니구나 하면서도
열심히 셔터를 누르는데 손은 어찌나 시러운지 나중에는 셔터가 눌러지지가 않는다. 
배를 따라 하얀 물살을 따라 몰려오는 갈매기들, 한 10여분의 아름다운 풍경과 행복은 온 몸의 희열을 가져오게 한다.
날이 건조해 폴폴 날리는 먼지, 앙상한 가지로 둥그렇게 뭉친 빽빽한 소사나무, 아직 봄은 멀리 있는 듯 하다.
낮으막한 산행 길은 부드러웠는데 산보다는 양쪽으로 보이는 바다에 눈은 향하게 되어 조망이 좋은 바위에 서면
햇살이 내린 은빛 바다와, 황량한 들판과, 점점이 떠있는 작은 섬, 염전이 어우러진 겨울 풍경, 그리고 우측으로는 
우리 일행이 조금전에 지나왔던 외포리 포구가 한 폭의 그림으로 다가와 섬 산행은 어느덧 고향처럼 마음에 평안이 흐른다.
천년고찰이 자리 잡은 수려한 산과 시원한 바다, 보문사 앞에는 갖가지 곡식과 먹을 것을 늘어 놓은 노점상들이 있고
포구 앞에 즐비한 식당 앞에는 새우튀김 인삼 막걸리를 놓고 손님을  부르는 아낙네의 목소리 마저 정겨운 외포리포구,  
밴댕이 무침과 동동주, 그리고 칼국수로 우리는 하나가 되어 소중한 인연을 품고 서해 바다를 붉게 물들이는 하늘빛을 뒤로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7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0.
산행 들머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1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4.
삼량 염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7.
거북바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1.
소사나무
한국 특산종으로 제주등지에 자란다. 잎과 열매이삭이 크고 큰 나무로 되는 것을 왕소사나무(var. major)라고 하며, 
옹진과 백아도에서 자란다. 한 꽃이삭에 꽃이 많이 달리는 섬소사나무(var. multiflora)는 한국 특산종이며, 
인천 근처의 섬과 거문도에서 자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2.
연인바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4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6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7.
낙가산 중턱에세 본 보문사
양양낙산사와 금산보리암과 함께 우리나라 3대 해상 관음 기도도량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8.
눈썹바위와 마애관음좌상
보문사가 관음 도량의 성지임을 가장 잘 상징하는 성보문화재로서, 사람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이곳에서는 멀리 서해바다가 한 눈에 조망되는 등 경치가 장관이다. 특히 낙조(落照) 경관은 아주 일품이어서 
수평선 너머로 떨어지는 붉은 해와 노을을 쳐다보노라면 종종 그야말로 무아지경 불심(佛心)의 경지에 들곤 한다. 
이 관음좌상은 대웅전과 관음전 사이에 있는 계단을 따라 한 10분 가량 올라가면 나오는 낙가산 중턱의 눈썹바위 아래에 새겨져 있다. 
절에서부터의 거리는 약 1km가량 된다. 오르는 길이 제법 가파르기 때문에 계단은 지그재그 식으로 놓았다. 
이 불사를 기념하는 `관음성전계단불사공덕비'가 중간에 놓여 있다. 
계단이 놓여졌다고는 하나 눈썹바위로 올라가는 길 자체가 워낙 급한 까닭에 한달음에 올라갈거리는 못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2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1. 극락보전 현재 정면 5칸 측면 3칸의 커다란 규모로 보문사를 찾는 사람을 반기고있다. 극락보전의 내부 넓이는 약 60평이며, 이곳에 관음보살상을 포함해 3,000불이 모셔져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2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4. 화사한 연꽃 창살무늬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6. 석실 앞마당 향나무 석실과 범종각 사이에 있는 큰 바위틈에 인천광역시 지방기념물 제17호로 지정된 향나무가 자라고 있다. 수령(樹齡)이 약 600년이나 된 노목(老木)으로 크기는 높이 32m, 땅 위 1.2m 부위의 둘레가 2.8m이다. 1.7m 높이에서 원줄기가 동서로 갈라져 둘레가 동쪽 것은 1.3m, 서쪽 것은 1.5m나 된다. 이 향나무는 6·25 당시 죽은 것같 이 보였다가 3년 뒤 다시 소생하였다고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7. 보문사 석실입구 석실 안에 봉안된 23불의 나한상은 눈썹바위의 마애관음보살좌상과 더불어 보문사의 대표적 성보문화재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8. 맷돌 맷돌은 옛날 절의 스님들이 취사용으로 사용하던 것으로 석실 입구 오른쪽 삼성각 올라가는 계단 옆 화단에 있다. 석재는 화강암인데, 전체적으로 돌 다듬은 솜씨가 부드럽고 또한 조각도 정밀한 편이다. 둥근 모양을 한 밑부분으 주연(周緣)에는 흠이 널찍하게 파여져 있고, 맷돌질로 잘게 으스러진 음식물이 밑에 받치는 그릇에 흘러 잘 담아지도록 홈통도 적당한 너비로 파여 있다. 윗돌은 얇게 조성되었으며 역시 주연에 굵직한 테를 양각하고 그 양쪽을 파 놓아 그곳에 자루를 끼워 맷돌을 돌릴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다.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맷돌은 웃돌, 곧 상대석만 남아 있는데 이 보문사 맷돌은 웃돌 뿐만 아니라 아랫돌, 곧 하대석까지 완전하여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크기도 지름 69cm, 두께 20cm나 되어 보통의 것보다 두 배 가량 된다. 이 맷돌이 이용되던 시절 보문사가 얼마나 많은 스님과 신도들로 성황을 이루었는지 짐작할 만하다. 전체의 양식으로 보아 조선 시대 후기의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인천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9. 범종각 대웅전 앞에 위치하고 있다. 1975년에 지어졌으며 안에는 그 당시 국내 최대의 범종이 봉안되어 있다. 이 범종은 1975년 당시 주지인 정수(正秀)스님의 발원으로 조성되었는데. 높이 215cm, 밑지름 140cm, 무게 5t이나 된다. 조성 당시 국내 최대의 범종으로서 나라 안팎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기본 형태는 국보 제36호인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동종과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을 조화시켜 도안한 것이다. 이 범종은 1975년에 고 육영수(陸英修) 여사가 화주하여 모셔진 것이라고 한다. 한편 `범종각'이라는 현판 글씨는 강화가 고향인 서예가 박세림(朴世霖, 1924∼1975)의 작품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0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1. 석탑과 불상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2. 불전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3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4. 담장 넘어 범종각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6. 낮 달이 시리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7. 보문사 입구 장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8. 밴댕이 회 무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49.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0. 타고 나온 배를 뒤돌아보며....

출처 : 약속의숲 지혜의샘
글쓴이 : 은지와진희 원글보기
메모 :